logo

잠언 묵상 645

2017.11.21 21:47

solafide1004 조회 수:879

<아침을 여는 잠언 묵상> 
 
네 자식을 징계하라 그리하면 그가 너를 평안하게 하겠고 또 네 마음에 기쁨을 주리라 (잠29:17, 개역한글) 
 
믿음의 부모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책무는 태어나면서부터 죄로 얽혀 있는 자녀들의 영혼을 그리스도의 보혈로 씻어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는데 있습니다. 
 
이 일은 자녀를 잘 먹이고 입히고 가르쳐서 세상에서 성공한 사람 되게하는 일과 족히 비교할 수 없는 중요한 일입니다.
자녀가 죄를 범하고 하나님과 멀어지려 할 때 믿음의 부모는 채찍을 들 수 있어야 합니다.
때로는 지엄한 징계로 자녀의 영혼과 마음을 교정하고 하나님의 계명과 법을 생명처럼 여기도록 훈육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살도록 엄격하게 자녀의 영혼을 지도하게 될 때 그 믿음의 자녀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주시는 보답은 그 자녀로 인해서 언제나 부모의 마음에는 넘치는 평안과 기쁨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너를 평안하게 하겠고 또 네 마음에 기쁨을 주리라.’ 라고 징계를 아끼지 않은 부모에게 하나님께서 분명히 약속해 주신 것을 기억하십시오. 
 
반대로 자녀에게 채찍을 아끼는 부모가 받는 벌은 그 자녀로 인해서 평생에 괴로움과 슬픔을 맛보게 되는 것입니다.
자녀를 과잉보호하지 마십시오. 결코 지혜로운 일이 아닙니다. 자녀가 어렸을 때 부터 하나님의 말씀과 법으로 다스리십시오.
그가 자라면서 하나님을 경외하고 부모를 존경하며 순종하는, 하나님께 복을 받는 자녀가 될 것입니다. 
 
자녀의 죄를 눈 감아주는 죄를 범하지 마십시오.
언제나 강조하는 말씀이지만 부모가 그 자녀의 죄를 방관할 때 하나님께서 직접 그 자녀의 죄를 다스릴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상상할 수 없는 고통과 괴로움이 자녀의 인생에 엄습하게 될 것입니다. 
 
부모님 여러분,
자녀가 하나님의 말씀을 얼마나 사랑하고 있는지 수시로 점검하십니까..
자녀가 언제나 기도로 하나님을 찾으며 특별한 일이 있을 때 더 간절한 기도로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고 있는지 살피고 있으십니까.. 
 
자녀를 통해 얻는 기쁨과 위로와 소망은 저절로 찾아오지 않습니다. 그 자녀의 영혼을 사랑함으로 언제나 한손에는 채찍을 들고 다른 한손에는 성경을 들어 눈물로 기도하는 부모님들에게 하나님의 이같은 은혜와 축복이 함께 함을 잊지 마십시오. 
 
내 자식들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들임을 항상 기억하시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부모님들이 되시기를 기도하고 소망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3 아침에 띄우는 목양서신378 solafide1004 2019.08.03 1063
582 잠언 묵상 154 SDG 2015.12.09 1064
581 잠언 묵상 236 SDG 2016.04.05 1064
580 잠언 묵상 394 solafide1004 2017.02.01 1064
579 잠언 묵상 433 solafide1004 2017.02.02 1064
578 아침에 띄우는 목양서신420 solafide1004 2019.09.25 1064
577 잠언 묵상 191 SDG 2016.02.02 1065
576 잠언 묵상 207 SDG 2016.02.23 1065
575 잠언 묵상 449 solafide1004 2017.02.02 1065
574 잠언 묵상 623 solafide1004 2017.10.20 1066
573 아침에 띄우는 목양서신402 solafide1004 2019.08.29 1066
572 점언 묵상 56 SDG 2015.07.21 1067
571 잠언 묵상 169 SDG 2015.12.31 1067
570 잠언 묵상 619 solafide1004 2017.10.20 1068
569 아침에 띄우는 목양서신339 solafide1004 2019.06.23 1068
568 묵상, 설교 한토막170 hi8544 2022.10.19 1068
567 잠언 묵상 115 SDG 2015.10.19 1069
566 잠언 묵상 137 SDG 2015.11.17 1069
565 잠언 묵상 271 SDG 2016.05.28 1069
564 잠언 묵상 387 SDG 2016.11.14 1070